경기침체가 오면 가장 먼저 벌어지는 7가지 변화
경기침체라는 단어가 뉴스에 자주 등장하면, 많은 분들이 ‘이제 뭔가 안 좋은 일이 벌어지려나’ 하는 불안을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경기침체는 갑자기 한순간에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흐름 속에서 다양한 변화가 순차적으로 나타납니다. 오늘은 경기침체가 시작될 때 가장 먼저 나타나는 7가지 현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심리 위축과 지출 감소 경기침체의 신호 중 가장 빠르게 나타나는 변화는 소비심리의 위축입니다. 사람들이 미래를 불안하게 느끼면 자연스럽게 지갑을 닫게 됩니다. 외식 횟수가 줄고, 명품이나 가전제품 같은 고가 소비는 급격히 감소하죠.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경제 주체들의 심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지수가 100 이하로 떨어지면 경기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다는 의미인데, 2023년 상반기에도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해 해당 지수가 96.4까지 하락한 바 있습니다. 저도 당시 콘텐츠 제작 방향을 ‘절약’, ‘지출 관리’, ‘가성비 소비’ 등으로 전환하면서 소비자들의 심리 변화가 현업에서도 체감된 적이 있었습니다. 기업의 채용 축소와 인력 감축 소비가 줄어들면 기업들의 매출도 자연스럽게 감소합니다. 이에 따라 비용을 줄이기 위한 조치가 가장 먼저 인력 조정으로 이어집니다. 신규 채용이 줄어들고, 일부 기업은 구조조정이나 희망퇴직을 단행하게 됩니다. 실제로 2020년 코로나 이후 경기침체기에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까지 신규 채용을 대폭 줄였고, 구직자들이 큰 어려움을 겪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청년실업률은 10%를 넘긴 적도 있었죠. 저도 당시 취업 컨설팅 관련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갑작스럽게 늘어난 질문들과 댓글 수를 통해 현장의 긴장감을 느낀 바 있습니다. 자산시장 가격 하락 경기침체가 본격화되면 주식, 부동산, 가상자산 등 자산시장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