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 PPI? 뉴스에서 맨날 나오는데 도대체 뭘까?
경제 뉴스에서 가장 자주 언급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CPI와 PPI입니다. 발표되는 날마다 주식시장도 흔들리고, 금리와 환율도 영향을 받는 걸 보면 중요한 지표라는 것은 알겠는데,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헷갈릴 때가 많죠. 오늘은 CPI와 PPI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되고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의미 CPI는 'Consumer Price Index'의 약자로, 한글로는 소비자물가지수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소비자가 구매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식료품, 의류, 주거, 교통, 교육, 의료 등 일상생활에서 소비되는 거의 모든 항목이 포함되어 있죠. 예를 들어, 한국은행이 기준으로 삼는 CPI는 전국 도시 가구가 주로 소비하는 460여 개 품목의 가격을 기준 시점과 비교해 산출합니다. 기준 시점이 2020년이라면, 그해의 CPI는 100으로 설정됩니다. 이후 CPI가 110이 되면 물가가 10% 올랐다는 뜻이 됩니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의 연간 CPI 상승률은 약 3.6%로 나타났습니다. 이 지표는 중앙은행이 금리 정책을 정할 때 매우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물가가 지나치게 오르면 금리를 인상해서 소비를 억제하고, 반대로 물가가 낮아지면 금리를 낮춰 소비를 유도합니다. 저도 CPI 발표일이 가까워질 때는 주식 매매를 자제하고, 방향성을 확인한 뒤 투자하는 습관을 들이고 있어요. 생산자물가지수(PPI)의 역할 PPI는 'Producer Price Index'의 약자이며, 생산자물가지수라고 합니다. 생산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때 받는 가격의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전 단계, 즉 도매 단계에서의 물가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원유, 철강, 곡물, 전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