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물가는 왜 이리 비싸지? 검색하면 안 나오는 이유
뉴스에서는 물가가 안정세라고 보도하는데, 막상 마트나 편의점에 가보면 예전보다 훨씬 비싸게 느껴지죠. 식사 한 끼 값도 훌쩍 올랐고, 커피 한 잔 가격도 부담스럽게 다가옵니다. 그런데 정작 검색해 보면 ‘공식 물가 상승률’은 그렇게 높지 않게 나온 경우가 많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공식 물가지수의 계산 방식 정부에서 발표하는 물가 지표는 대부분 소비자물가지수(CPI)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 수치는 통계청이 전국 가구의 소비 패턴을 조사해서, 약 460여 개 품목의 평균 가격 변동을 반영해 만든 지표입니다. 매달 기준 시점 대비 몇 퍼센트 올랐는지를 비교하며, 국민 전체의 ‘평균적인’ 물가 수준을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CPI는 전체 품목의 평균값이기 때문에, 개개인이 주로 소비하는 품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식이나 간편식에 지출이 많은 1인 가구는 CPI보다 훨씬 높은 물가 상승을 체감하게 됩니다. 반면 자차 없이 대중교통만 이용하는 사람은 유류비 상승 영향을 적게 받을 수도 있죠. 저도 한동안 라면, 커피, 배달 음식 중심의 소비를 하던 시기에 뉴스에서 발표하는 물가 상승률과 전혀 맞지 않는 체감이 있었습니다. 그때 ‘왜 검색해서 나오는 숫자는 내 체감과 다른가’라는 의문을 처음 갖게 됐어요. 자주 사는 품목의 인상 폭이 큼 사람들이 ‘물가가 비싸졌다’고 느끼는 이유 중 하나는, 자주 구매하는 생활밀착형 품목 가격이 집중적으로 올랐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커피, 편의점 도시락, 배달비, 삼겹살, 라면, 휴지 같은 품목은 일상적으로 구매하기 때문에 가격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품목은 CPI에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전체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을 수 있습니다. 반면 통계적으로는 비중이 크지만 자주 소비하지 않는 항목들, 예를 들면 고급 전자제품이나 일부 서비스 항목은 체감물가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죠. 2023년 상반기 기준으로 삼겹살과 배달비는 각각 전년 대비...